소고기 안심은 기름기가 적지만 육질이 연한 대표적인 부위다
보통 소 한 마리당 8kg 정도
많이 나올 때는 10kg 까지도 나오긴 하는데
그보다 더 적게 나오는 부위도 많기 때문에 알 필요는 없다
근데 이제 알아야 할 포인트는 소고기 안심 역시
다 같은 안심이 아니라 부위에 따라 명칭이 나뉘고
레스토랑 같은 곳에서는 가격마저 다르다는 점이다
레스토랑 같은 곳에서는 샤또브리앙,필레,투르네도를 사용하지만
정육점 같은 곳에서는 굳이 구분을 하지 않기 때문에
레스토랑을 자주 가는 사람들이라면 그냥 아~하고 넘기면 된다
샤토브리앙에서 필레굴라(쁘띠필레)로 갈수록
미세하게 육질이 조금 연해지긴 하지만 크게 차이는 없고
모양이 조금씩 작아진다
스테이크는 모양이 중요하기 때문에 값 차이가 여기서 난다
스테이크 최고 부위
샤또브리앙, 필레, 투르네도 Tenderloin(미국식)/Filet(유럽식)
샤토브리앙
안심 부위 중 가장 값비싸고 모양도 좋으며 맛도 뛰어나다는 부위
우선 모양이 가장 깔끔하게 나오기 때문에, 안심 부위 중 가장 최고급 부위다
일반 정육점에서는 이렇게까지 세분화해서 팔지는 않기 때문에
가장 두툼하고 모양이 이뻐 보이는 것을 선택하면 된다
*잡지식* 샤토브리앙은 프랑스 대혁명기 이후 19세기 초반 격변기의 프랑스 귀족이자 유명한 소설가 겸 외교가인 프랑수아르네 드 샤토브리앙 남작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. 샤토브리앙의 전속 요리사였던 몽 미레이유 요리사가 샤토브리앙 스테이크를 처음 만들었다고 전해진다. |
헤드/테드
소고기 헤드란 손질을 하면서 따로
떼어내는 부위를 말하는데
헤드 쪽엔 약간의 힘줄이 있어서 씹는 식감이 있다
질기지는 않지만 샤토브리앙 같은 부위와
차이가 있다면 있다고 할 수 있겠다
구이를 해서 팔거나 이유식에 쓰는 등
정형하는 사람에 따라 판매 방식이 다 다르다
레스토랑에선 따로 취급하지 않는 곳도 있다고 한다
필레미뇽, 필 레굴라 시(쁘띠필레)
연하긴 하지만 컷팅 시 모양이 작게 나오기 때문에
뭔가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기는 어렵다그래서
보통 포를 떠서 모양을 넓적하게 썰어 진열한다
샤토브리앙과 필레만큼의 마블링도 없기 때문에
더 담백하지만 소고기 특유의 풍미는 느껴지지 않는다
최고급 안심스테이크인 '샤토브리앙 스테이크'를 좋아해
자신의 이름이 스테이크명으로 붙은 것으로 알려진 19세기 프랑스의 귀족,
www.asiae.co.kr/news/view.htm?idxno=2017120414422938873
[퇴근길 잡학사전]필레미뇽, 샤토브리앙? 같은 안심스테이크인데 왜 이름이 다를까?
레스토랑 메뉴판에서 가장 골치아픈 메뉴 중 하나가 '안심스테이크'다. 우리 말로는 안심과 등심 양자택일하면 되는 스테이크가 양식당에서는 갖가지인데, 특히 안심은 좀 복잡하다. 보통 쁘띠
www.asiae.co.kr
'소고기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미국산 소고기 등급제 정리 (6) | 2023.04.10 |
---|---|
한우와 육우, 젖소의 차이점 (0) | 2023.03.20 |
산적용 소고기, 어떤 부위로 할까? (0) | 2023.03.03 |
LA갈비? 척갈비? 본갈비? 소 갈비 간단 정리 (0) | 2023.03.01 |
소고기 등급의 기준, 최저등급제란? (0) | 2023.02.25 |
댓글